![](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x5PIo/btrN8z0n6xa/x36ZQIfrCx35xOh8wGOFv0/img.png)
TCP/IP 5계층 모델에서 가장 상위 층에 해당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대해 살펴보자.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최상위층으로 이 위에는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있다. 2.1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원리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통신은 아래 그림과 같이 종단 시스템 간의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발생한다. 2.1.1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구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관점에서 네트워크 구조는 고정되어 있고 애플리케이션에 특정 서비스 집합을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 구조(application architecture)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설계되고 애플리케이션이 다양한 종단 시스템에서 어떻게 조직되어야 하는지를 지시한다. 현대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두 가지 우수한 구조를 살펴보자.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이 두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J3flb/btrNLBeaqcp/Ff4BcC3cdHQUPPaD3S7v00/img.webp)
인터넷은 여러 요소들로 이루어진 매우 복잡한 시스템이다. 그런데 이렇게 아주 복잡하다면 네트워크 구조를 어떻게 조직해야 할까 ❓❔❓ 우리는 이러한 복잡한 구조를 쉽게 파악하기 위해 "계층화" 라는 개념을 이용한다. 항공 시스템을 통한 계층화의 이해 우선 이해하기 쉽게 항공 시스템을 살펴보자. 아래는 항공 여행 과정을 계층화해서 나타낸 것이다. 티켓, 수하물, 게이트, 이륙/착륙, 비행기 라우팅 총 5개의 층으로 나눌 수 있다. 각 계층은 그 계층에서 어떤 동작을 취하고 그 계층 바로 아래 계층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 티켓 계층에서 티켓을 구입하고 수화물 계층에서 티켓을 구매한 승객을 대상으로 수하물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계층화의 필요성 위의 항공 여행 과정을 통해 살펴봤듯이 계..